민주주의와 플라톤의
철인정치의 괴리

민주주의와 플라톤의 철인정치 사이에는 몇 가지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습니다.
1. 정치 철학의 기본 원칙:
민주주의는 국민이 직접 혹은 대리로 정치적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합니다. 민주주의는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고, 다수결 원칙에 따라 결정을 내리며,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중요시합니다.
반면 플라톤의 철인정치는 그의 대표작 '국가'에서 제시되는 이상적인 정치 체제입니다. 철인정치는 철학자 왕들이 국가를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들은 지식과 지혜를 바탕으로 이상적인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정치를 수행합니다.
2. 권력의 분배:
민주주의에서는 권력이 국민에게 분산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정치 참여를 통해 의사를 표현하고, 정부의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플라톤의 철인정치에서는 권력이 철학자 왕들에게 집중되어 있습니다. 철학자 왕들은 도덕적, 지적 엘리트로 간주되며, 그들의 지혜와 도덕성에 의존하여 국가를 이끕니다.

3. 정치 참여:
민주주의는 국민들의 폭넓은 정치 참여를 장려합니다. 선거, 입법, 토론 등을 통해 국민들은 정치에 참여하고, 자신들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플라톤의 철인정치에서는 일반 국민들의 정치 참여가 제한적입니다. 철학자 왕들이 국가를 이끄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믿기 때문에, 일반 국민들의 정치 참여는 국가의 발전을 방해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4. 국가의 목표:
민주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평등을 최우선으로 여기며, 국가는 국민들의 이익을 존중하고 보호해야 합니다.
플라톤의 철인정치는 이상적인 국가를 구축하는 것을 목
표입니다. 이상적인 국가에서는 사회 질서와 정의가 중요하며, 국가는 모든 구성원이 행복하고 조화롭게 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5. 사회 계층:
민주주의는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계층 간의 격차를 줄이려고 노력하며, 사회와 정치적 참여에 있어서도 차별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반면 플라톤의 철인정치에서는 국가를 구성하는 세 가지 계층이 존재합니다: 철학자 왕들, 수호자, 생산자. 철학자 왕들은 국가를 이끌며, 수호자는 국가를 지키고, 생산자는 국가의 경제적 기반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계층 구조는 각자의 역할에 따라 정해진 책임을 다함으로써 국가의 조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6. 교육:
민주주의에서 교육은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간주됩니다. 교육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합니다.

플라톤의 철인정치에서는 교육이 국가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며, 각 계층에 맞는 교육이 제공됩니다. 특히 철학자 왕들은 철학, 수학, 정치 등의 교육을 받아 지혜롭고 도덕적인 통치자가 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합니다.
결론적으로, 민주주의와 플라톤의 철인정치는 정치 철학, 권력의 분배, 정치 참여, 국가의 목표, 사회 계층, 그리고 교육과 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평등과 개인의 자유를 중요시하는 반면, 플라톤의 철인정치는 이상적인 국가를 구축하기 위한 사회 질서와 정의를 강조합니다.
'인생은 인문학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비도지 이제 알아야한다.. (0) | 2023.04.19 |
---|---|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프로이드적 관점.. (0) | 2023.04.19 |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0) | 2023.04.18 |
비트코인 채굴에 대해.. (0) | 2023.04.16 |
리플 xrp 판결과 타임라인으로 정리 (0) | 2023.04.16 |